반응형

병합 조인 변환

 

병합 조인 변환은 병합 변환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정렬된 입력 데이터에 대한 변환 작업입니다. SQL 쿼리에서 JOIN 문을 이용하는 것과 같이 두 입력 데이터에 대해 조인 연산을 수행합니다. 수행할 수 있는 조인은 내부 조인(Inner Join), 왼쪽 우선 조인(Left Outer Join), 완전 조인(Full Outer Join)입니다. 입력 데이터가 정렬되어야 하며, 단지 두 개의 입력에 대해서만 조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SQL 쿼리의 조인 연산과 비교해 볼 때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입력 데이터가 SQL 데이터가 아니거나 또는 서로 다른 유형인 경우, 별도의 임시 저장 테이블(Staging Table)에 데이터를 로딩한 후 SQL 쿼리를 이용하여 조인 연산을 수행하는 대신 데이터를 원본에서 읽어온 후 바로 조인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또한, 쿼리를 직접 작성하는 대신 마우스로 조인을 설정하고 출력 열을 설정하는 방식은 개발자의 코딩 작업을 줄여줄 수도 있습니다.

 

[참고]

1.       SQL 쿼리에서는 오른쪽 우선 조인(Right Outer Join)이 있지만, 병합 조인 변환에서는 없습니다. 대신, 오른쪽 우선 조인은 왼쪽 우선 조인에서 입력 바꾸기를 이용하여 두 입력을 서로 바꾸어서 수행하면 됩니다.

 

2.       동일 인스턴스에 있는 SQL Server의 테이블이 입력 데이터인 경우에는, 병합 조인 변환 대신 OLE DB 원본SQL 명령에서 SQL문을 이용한 조인을 수행하는 방식이 더 효과적입니다.

 

 

 

입력 데이터를 병합 조인 변환으로 연결할 경우,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입력 유형을 설정해야 합니다. 내부 조인이나 왼쪽 우선 조인인 경우, 왼쪽 입력이 조인 연산의 기준이 되는 입력이 됩니다. 입력되는 데이터는 정렬된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입력 데이터의 정렬 속성은 다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두 입력을 지정한 후, 병합 조인 변환 편집기에서 조인할 열과 출력할 열을 설정합니다. 조인할 열은 정렬이 된 열이어야 하며, 출력 별칭을 이용하여 출력 열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순서는 정렬 방식을 나타냅니다. 1은 오름차순을 나타내며, -1은 내림차순을 나타냅니다. 입력 바꾸기(S) 버튼은 왼쪽 우선 외부 조인인 경우에만 활성화 됩니다.

 

다음과 같은 두 입력에 대해 각각의 조인 형태에 따른 결과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ource1

Source2

 

 

1)      내부 조인

 

 

2)      왼쪽 우선 외부 조인

 

3)      완전 외부 조인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