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TS 패키지를 SSIS로 업그레이드 및 마이그레이션 하기 (2)

 

SQL Server 2000 DTS 패키지를 아무런 변경 없이 바로 사용하는 방법인 업그레이드 관련 글과 연계하여 SQL Server 2005 SSIS 패키지로 변환하는 부분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3.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하기

SQL Server 2005에서는 SQL Server 2000 DTS 패키지를 마이그레이션 하기 위한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제공합니다.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는 SQL Server 2005 Standard Edition Enterprise, Developer Edition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이용하여 DTS 패키지에 포함된 대부분의 작업들을 마이그레이션 할 수 있지만, ActiveX 스크립트 작업이나 동적 속성 지정 작업과 같은 일부 작업 개체에 대해서는 마이그레이션이 완벽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작업 매핑표]

2000 DTS의 작업 개체를 2005 SSIS로 마이그레이션 시 다음 표와 같이 변경됩니다.

SQL Server 2000 DTS 작업

SQL Server 2005 SSIS 작업

ActiveX 스크립트 작업

ActiveX 스크립트 작업

대량 삽입 작업

대량 삽입 작업

SQL Server 개체 복사 작업

SQL Server 개체 전송 작업

데이터 마이닝 예측 작업

데이터 마이닝 쿼리 작업

패키지 실행 작업

DTS 2000 패키지 실행 작업

프로세스 실행 작업

프로세스 실행 작업

SQL 실행 작업

SQL 실행 작업

파일 전송 프로토콜 작업

FTP 작업

메시지 큐 작업

메시지 큐 작업

메일 보내기 작업

메일 보내기 작업

데이터베이스 전송, 오류 메시지 전송, 작업 전송, 로그인 전송 및 master 저장 프로시저 전송 작업

SQL Server 개체 전송 작업, 데이터베이스 전송 작업, 오류 메시지 전송 작업, 작업 전송 작업, 로그인 전송 작업 및 마스터 저장 프로시저 전송 작업

 

Analysis Service와 관련된 작업, 데이터 기반 쿼리 작업, 동적 속성 작업, 데이터 변환 작업 등은 SSIS 작업으로 변환되지 않습니다.

 

 

[패키지 변환 마법사 실행하기]

패키지 변환 마법사는 BIDS(Business Intelligence Developmemt Studios) [프로젝트(P)]à[DTS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M)] 메뉴 혹은 솔루션 탐색기의 SSIS 패키지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SQL Server Management Studios [관리]à[레거시]à[데이터 변환 서비스] 에서 마이그레이션 마법사(M)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습니다.

 

 

 

 

 

 

 

 

 

[dtsrun 명령줄 업그레이드]

SQL Server 2000 DTS 패키지를 수행하기 위한 유틸리티인 dtsrun.exe SQL Server 2005에서는 dtexec.exe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수행 명령줄을 작성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UI 형태의 프로그램인 dtsrunui.exe 역시 dtexecui.exe로 변경되었습니다.

DTS 패키지를 dtsrun.exe를 사용하여 수행한 경우, 다음 매핑 표와 같이 명령줄을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A. dtexec에 같은 옵션이 있는 dtsrun 옵션

dtsrun 옵션

dtexec 옵션

설명

/?

/? Or /H[ELP]

옵션 목록을 표시합니다.

/S

/Ser[ver]

서버 이름을 지정합니다.

/U

/U[ser]

사용자 이름을 지정합니다.

/P

/P[assword]

사용자 암호를 제공합니다.

/N

/D[ts] - 패키지 저장소

/SQ[L]

MSDB의 패키지 이름을 지정합니다.

/G

/VerifyP[ackageID]

패키지 GUID를 제공합니다.

/V

/VerifyV[ersionID]

/VerifyB[uild]

패키지 버전 및 빌드를 지정합니다.

/M

/De[crypt]

패키지 암호를 지정합니다.

/F

/D[ts] - 패키지 저장소

/F[ile] - 파일 시스템

패키지의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A

/Set

변수 값을 지정합니다.

/L

/L[ogger], /Cons[oleLog]

로그 파일 또는 로그 공급자에 로깅합니다.

/W

/L[ogger] , /Cons[oleLog]

이벤트 로그에 로깅합니다.

 

B. dtexec에는 없는 dtsrun 옵션

dtsrun 옵션

dtexec 옵션

설명

/E

(사용자 이름 및 암호 생략)

트러스트된 연결을 사용합니다.

/R

(리포지토리 지원 안 됨)

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지정합니다.

/Z

 

암호화된 명령줄을 전달합니다.

/!X

 

암호화된 명령줄 생성 시 실행을 차단합니다.

/!D

(Dtutil.exe 사용)

MSDB 데이터베이스에서 패키지를 삭제합니다.

/!Y

 

암호화된 명령줄을 실행하지 않고 표시합니다.

/!C

 

명령줄을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C. dtexec에 새로 추가된 옵션

dtsrun 옵션

dtexec 옵션

설명

 

/CheckF[ile]

검사점 파일을 지정합니다.

 

/CheckP[ointing]

검사점을 설정하거나 해제합니다.

 

/Com[mandFile]

추가 명령줄 옵션을 포함하는 파일을 지정합니다.

 

/Conf[igFile]

구성 파일을 지정합니다.

 

/Conn[ection]

패키지의 연결 관리자에 연결 문자를 제공합니다.

 

/M[axConcurrent]

최대 동시 실행 파일 수를 설정합니다.

 

/Rem

주석을 입력합니다.

 

/Rep[orting]

보고 수준을 설정합니다.

 

/Res[tart]

검사점 처리 방법을 지정합니다.

 

/Su[m]

행 개수를 표시합니다.

 

/Va[lidate]

실행하지 않고 유효성을 검사합니다.

 

/VerifyS[igned]

서명되지 않은 경우 실패 처리합니다.

 

/W[arnAsError]

경고를 오류 또는 유효성 검사 실패로 처리합니다.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사용하여 DTS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하기(1)]

 

다음과 같이 SQL 실행 작업이나 데이터 펌프 작업 등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DTS 패키지를 패키지 변환 마법사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그림 1) 단순 패키지 원본

 

그림 2) 패키지 변환 마법사에서 DTS 패키지 원본 지정

 

그림 3) SSIS 패키지로 변경될 후 저장될 위치 선택

 

그림 4) 마이그레이션 할 패키지 선택

 

그림 5) 마이그레이션 로그파일 지정

 

그림 6) 마이그레이션 수행

 

그림 7) 마이그레이션 수행 후 완료된 형태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사용하여 DTS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하기(2)]

ActiveX 스크립트 중 단순한 형태의 스크립트는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변환이 이루어진 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림 8) ActiveX 스크립트 작업이 포함된 패키지

 

그림 9) 마이그레이션 수행 후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를 사용하여 DTS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하기(3)]

동적 속성 작업이 포함된 패키지의 경우, 주석 처리가 된 스크립트 형태의 작업으로 변환됩니다. 이러한 변환결과를 참고하여 SSIS구성속성 식 등을 이용하여 별도로 수정을 해야 합니다.

 

그림 10) 동적 속성 작업이 포함된 패키지

 

그림 11) 마이그레이션 수행 후

 

그림 12) 동적 속성 작업이 변환된 스크립트 작업

 

 

 

 

 

4.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시 참고 사항

패키지 마이그레이션 마법사는 원본 DTS 패키지를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합니다.

SSIS DTS에서와는 달리 패키지 이름에 잘못된 문자(/ \ : [ ] . =)가 포함되어 있거나 등록되어 있지 않은 개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마이그레이션이 수행되지 않습니다.

패키지가 마이그레이션 되는 경우 패키지의 암호는 함께 마이그레이션 되지 않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