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SIS를 이용한 서버 성능 수집 프로세스 구현 - 소개와 구조 설명


백도훈

에이디컨설팅 선임 컨설턴트
 

지난 주와 이번 초까지 교회에서 아웃 리치를 다녀왔습니다. 한국에 도착하니 비가 많이 오네요.

오늘부터 써볼 생각인 패키지도 어떻게든 아웃 리치 가기 전에 올리고 가려고 했는데 양이 너무 많아서 실패했었습니다.

패키지 구현도 어렵지만 쓰는 것도 만만치 않더군요. 가능하면 읽으시는 분들이 알기 쉽게 쓰고 싶은데 쓰는 내공이 없이 부족하네요. 열심히 써보겠습니다.

 

 

사람에게 바이오 리듬이 있다면 서버에게는 서버 특성에 따른 성능 리듬이 있을 입니다.

 

서버의 성능 카운터를 남겨서 분석하면 서버의 CPU 사용량이 시간대 별로 어떠한지 사용자들의 접속 추이가 어떠한지 등의 상태를 있으며 어떤 카운터의 수치가 높게 나타나면 이것이 오늘만의 일인지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것인지 혹은 일주일 특정 요일에만 높은 수치를 보이는 것인지 파악할 있을 것입니다.

 

또한, 오랜 기간 카운터 정보를 남기면 어떤 카운터가 높아지니 카운터도 영향을 받더라는 등의 서버 특성에 따른 상태를 유추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이것을 기초로 단순 수치로 계산했을 앞으로 얼마 뒤에 어떤 하드웨어의 추가 구입이 필요하다든지 어느 것에 대한 튜닝이 필요하다든지 등을 통해 (모든 장애를 막을 수는 없겠지만) 최소한 관리 소홀로 인한 장애는 막을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서버의 성능 리듬을 파악하고 있는 것이 관리자로서 필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이제부터 구현해 패키지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억지로 역설해봤습니다. -_-a

, 이제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은 앞으로 만들 패키지의 필요성을 알게 되었습니다. -_-;;; (설득되어 주세요. ;;)

 

 

어쨌거나, 성능 모니터 도구를 이용하면 시스템 성능을 감시할 있습니다. 성능 모니터 도구에서 남기는 로그 파일을 SSIS에서 이용해서 서버의 카운터 데이터를 집계하고 엑셀 파일로 리포트도 만들고 관리자에게 메일로 리포트 파일을 보내는 작업을 하는 패키지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이번에 만들게 패키지의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리 대상 서버: 성능 모니터 도구를 이용해 로그를 남깁니다.

2.        수집 서버: 로그 파일을 가져와서 DB 입력합니다.

3.        수집 서버: 하루에 번씩 데이터를 가지고 간단한 집계를 엑셀 파일을 만듭니다.

4.        수집 서버: 엑셀 파일을 지정된 메일로 발송합니다.

 

2번과 3, 4번은 패키지 하는 역할도 다르고 실행 주기도 다릅니다. 따라서 패키지를 별도로 2 만들 예정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